2. 건 강 보조식품의 허(虛)와 실(實)
1. 도대체 무엇을 가지고 건강보조식품이라고 하는가?
↝ 약초요법(herbal remedy), 자연약제(natural product), 건강보조식품(dietary
supplement), 漢藥劑(Chinese herbal medicine, oriental medicine), 草本劑(plant
drug) 등을 통틀어 이야기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漢藥이 아닌, 처음부터 독립적으로 발달한 韓藥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영어로 Korean medicine이란 말은 없고, Chinese medicine 또는 Oriental
medicine이라고 할 뿐이다. 엄격히 말하면 漢醫學에 근거를 둔 한국적인 변형(Korean
evolution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이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10) 중국의 약초요법과 우리나라 고래의 요법이 전혀 다르다는 주장과
약간의 자기 자존심과 오만이 합쳐진 결과이지만, 알고 보면 한반도 傳來의 의학이
중국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을 뿐더러, 사용하고 있는 많은 약초가
같은 것으로 보아 뿌리가 같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지금 흔히 사용하고 있는 소위 양약(洋藥, Western medicine)이
그 유효 성분만을 정제하여 사용하고 있는 반면, 한약제는 전초(whole plant)를 사용
하거나, 그 일부를 사용하여 정제 없이 사용하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다. 요사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많은 건강보조식품 들도 알고 보면 그 亞流라고 볼 수 있다. 이제부터
보조식품(또는 초약, 초본제)이라고 약칭 하면서 설명 하겠다.
2. 우리나라에서는 물론 엄청나게 소모 되고 있지만 다른 나라, 특히 미국의 현황은
어떠한가?
↝ 미국에서 초본제를 스스로 사용하고 있거나, 처방을 받아 사용하고 있는 성인 인구는
대략 1,500 만 명이나 된다고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이미 다른 약을 쓰고 있으면서도
초본제를 함께 사용하고 있는 성인 들이 50 %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의사들이 긴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사람들은 1998년 한해만 해도 이미 여기에 40 억 달러를 사용
하였으며, 전 세계 40 억 이상의 인구가 대체의학의 신세를 지고 있었다.(11)
최근의 논문에서도 미국 사람들은 ‘별로 효험도 없는 바이타민 제제와 허브 약제에 수십
억 달러를 소비하고 있다‘고 폭로하며 자탄하고 있다.(12)
저자는 「당신은 봉(duped)입니까?」라는 설문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폭로하고 있다.
· 50%의 미국인이 멀티비타민을 복용하고 있다 ; 매일 햄버거를 먹어서 뒤뚱거리면서도!
· 미국인 5명 중 한 명은 허브 보조식품을 먹고 있다 ; 더 굶어야 할 판에!
· 미국인 들은 2015년 한 해에만 건강보조식품을 사기 위해 210억 달러를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 30 달라 씩만 기부해서 아프리카 어린이 들이나 돕지 않고!
· 미국 예방 대책 위원회(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에서는 어떤
멀티비타민이나 허브 보조식품도 사용 권장 하지 않고 있다. ; 당연히 건강에 도움이
안되니까!
· FDA는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65,000 가지의 건강보조식품 중 겨우 1% 만 찾아내고
있을 뿐이다. ; 제대로 된 의약품과 의료기만 검증하는데도 너무 바쁘다! 65,000 가지를
모두 검증하려면 미국 국가 예산을 모두 쏟아 부어도 안 될 것이다. 또한 제약 회사
들의 로비에 대항할 만한 힘도 없다.
3. 미국인 들이 흔히 사용하고 있는 초본제로는 어떤 것 들이 있는가?
ㅇ. 에키나시아(Echinacea)
ㅇ. 요한초, 물레나물(St. John's wort)
ㅇ. 은행잎(Ginko biloba leaf)
ㅇ. 마늘(Garlic)
ㅇ. 톱야자(Saw palmetto)
ㅇ. 인삼(Ginseng)
ㅇ. 히드라스티스(Goldenseal)
ㅇ. 알로에(Aloe)
ㅇ. 가시오가피(Siberian Ginseng)
ㅇ. 쥐오줌풀(Valerian)
4. 이런 약제를 사용하게 되는 배경과 근거는 무엇일까?
↝ 전통적인 양약들이 전체의 80% 이상을 점하고 있으나 모든 질병의 대안이 될 수 없고,
실제로 거의 모든 약품들이 식물을 원천으로 하여 합성 된 것이다.
현대의약품의 25%는 식물에서 직접 추출한 것이며, 75%는 식물 추출물의 유도체인
것이다. 그러나 이들 초약의 효능에 대해서는 거의 밝혀진 것이 없거나 아주 적다는 것이
문제다. 1,200 여개의 허브 초본 중 약효가 확실히 알려져 있는 것은 30-40 개에
불과하다.(13) 따라서 처방을 내린다면 효능이 확실하다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 건강보조식품 들의 한계 및 단점
ㅇ. 의무적이거나 강제적인 표준화 장치가 없다.
ㅇ. 품질 관리에 대한 법규가 거의 없다.
ㅇ. 모든 제품이 솔직하게 부작용을 인정하고 있지는 않고 있다.
ㅇ. 함량과 효능에 대한 표준화 작업 미진 ; 성능 표현이 잘못 되었거나 유효성분의
함량이 미달
ㅇ. 다음과 같은 불순물이 섞여 있을 가능성이 많음
* 살충제, 중금속(비소, 수은, 납, 카드미움)
* 처방약제 들이 불법으로 포함 되어 있을 가능성 ;
- phenylbutazone, Aminopyrine, Prednisone, Testosterone, Diazepam,
Indomethacin 등
6. 대체 의약품의 부작용 및 위험성(13)
ㅇ. 일반인 들은 자기가 경험했던 약들의 부작용을 솔직하게 의사에게 털어 놓아야 한다.
ㅇ. 의사나 일반인은 부작용에 대하여 공인 의식을 갖고 식약청 식품의약 안전국(FDA)에
신고하는 것이 좋겠다. 우리나라에도 있다. KFDA!
청산가리 성분이 들어 있어 적정 용량을 가리기 힘든 씨앗, 나무껍질, 및 잎 들
미국의 국립암연구소(NCI)는 살구씨 등에 들어 있는 아미그달린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암의 치료에 아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게다가
미국식품의약국(FDA)도 이 같은 연구결과를 근거로 비타민 B17의 시안화합물(청산가리)
성분에 맹독성이 있다는 이유로 실제 임상적용을 금지시키고 있다.
ㅇ. 살구씨
ㅇ. 카사바 열매
ㅇ. 앵두 씨앗
ㅇ. 산벗나무열매
ㅇ. 복숭아씨
ㅇ. 서양자두열매
간독성물질
ㅇ. 독버섯류(상황버섯, 영지버섯 등도 잘못 쓰면 독작용; 서울대 입원 환자에 실례가
허다함)
ㅇ. 미나리과 식물 아위(forula assafotida) : 독미나리 참조
ㅇ. 떡갈나무 잎
ㅇ. 컴프리(차로 많이 사용)
ㅇ. Echinacea(감기약의 성분)
ㅇ. 마황
ㅇ. 용담과 식물(Gentian)
ㅇ. Germander(말라리아의 해열에 사용)
ㅇ. 겨우살이(Mistletoe)
ㅇ. Pennyroyal (박하류, 화장품 등에 사용)
ㅇ. 금불초(Ragwort)
ㅇ. 세나열매(변비에 사용)
ㅇ. 골무꽃(우황청심원 제조에 포함)
ㅇ. 상어연골
ㅇ. 쥐오줌풀; 【약학】 길초근(吉草根)
ㅇ. 카바(폴리네시아산 후추나무속의 관목)
쑥 두드러기가 있는 사람들에게 알레르기반응을 일으키는 것 들
ㅇ. 미역취속(屬)의 식물
ㅇ. 천수국
ㅇ. 서양톱풀(Yarrow)
ㅇ. 카모마일
항콜린작용(혈압이 오르고 입이 마름) 및 환각작용이 있는 것 들
ㅇ. 박하류에 속하는 허브
ㅇ. 측백나무과의 Juniper
ㅇ. 로벨리아 (Lobelia) ; 인디언 담배, 현재는 독초로 분류됨
ㅇ. 흰독말풀(Jimsonweed)
ㅇ. 향쑥(wormwood)
ㅇ. 육두구의 씨(향신료 약용)(Nutmeg)
완화제 남용의 위험
ㅇ. 갈매나무 껍질(Buckthorn bark)
ㅇ. 차풀(Senna)
ㅇ. 참소투쟁이속의 식물(Dock roots)
ㅇ. 알로에(Aloe vera)
임신여성에서의 유산 위험
ㅇ. 악마의 발톱 뿌리(devil's claw root)
ㅇ. 매발톱나무 열매(barberry)
ㅇ.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Dong Quai)
ㅇ. 루(Ruta graveolens), hydrastis(golden seal), 꽃박하(oregano)를 농축한 것
출혈의 위험(항응고역할) - 수술 전 인삼, 마늘, 생강, 은행잎 추출물에 대한 부작용 언급됨
ㅇ. 은행나무 잎
ㅇ. 화란국화(feverfew)
ㅇ. 마늘
ㅇ. 인삼
ㅇ. 당귀
ㅇ. 붉은 클로버
혈압의 변화를 일으킬 위험(15),(16),(17),(18),(19)
혈압을 상승 시키는 것 들(대개는 강한 맛이나 냄새로 인한 혈압의 상승)
ㅇ. anis seed-아니스. 중국의 ‘팔각’과는 조금 다름
ㅇ. 성요한의 풀(St. Johns Wort)
ㅇ. 고추(Capsicum)
ㅇ. 콜라 추출물(Cola alkaloids)
ㅇ. 파슬리(Parsley)
ㅇ. 승마(끼멸가리, blue Cohosh)
ㅇ. 마편초(버베인, Vervain)
ㅇ. 순결나무(Chaste tree, vitex Agnus-castus)
ㅇ. 창포(Calamus amines, Sweet flag)
ㅇ. 금작화(金雀花, 양골담초, Broom alkaloids)
ㅇ. 월계수열매(月桂樹, Bayberry)
ㅇ. 감초(甘草, Licorice)
ㅇ. 과라나(Guarana)
ㅇ. 마황(麻黃, Mahuang)
ㅇ. 포다르코 포르투칼 차(Pau dé Arco)
ㅇ. 머위(Coltsfoot)
ㅇ. 용담(龍膽, Gentian)
ㅇ. 생강(ginger)
혈압을 하강 시키는 것 들
ㅇ. 짚신나물(Agrimony)
ㅇ. 셀러리(Celery)
ㅇ. 옥수수 수염(cornsilk)
ㅇ. 생강(Ginger)
ㅇ. 마늘(garlic)
ㅇ. 산사나무(Hawthorn)
ㅇ. 겨우살이(Mistletoe)
ㅇ. 쐐기풀(Nettle)
ㅇ. 파슬리(Parsley)
ㅇ. 세이지(Sage)
ㅇ. 야생 당근(Wild Carrot)
ㅇ. 해총(海葱, sea onion, Squill)
ㅇ. 서양자리공(Pokeroot)
ㅇ. 히드라스티스(Goldenseal)
7. 일반적인 주의 사항, 및 당부 사항(13)
· 구입한 상품은 적절하게 표지(상표, 딱지)를 붙여 놓을 것
① 허브의 식물학적 이름
② 활성 성분의 강도 또는 농도
③ 묶음 또는 구획배치 번호
④ 유효 기간(만료 기간)
⑤ 제조회사 또는 접촉자의 인적 사항
· 임신부나 수유중인 여성은 허브 제품을 복용치 말 것
· 면역성이 약화된 상태에 있는 환자는 조심해서 사용할 것. 허브제제가 균에 오염이 되어
있을 수 있다.
· 최소 유효 용량을 사용 할 것
· 어떤 허브제제든 장기 복용하지 말 것
· 정규 수술을 받기 2주전에는 허브 제제 복용을 중지할 것
· 허브제제는 섞어서 사용하지 말 것
· 허브 제제를 사용하기 전에 주치의와 상의할 것
① 약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의사와 상의
② 부작용에 대해서 상의
③ 약의 효능과 안전성을 규칙적으로 재평가
· 운전하기 전 또는 기타 완전한 집중이 필요한 활동 전에는 졸릴 가능성이 있는
약은 복용하지 말 것
① 스트레스 완화 휴식 음료(예, Neuro Bliss, Just Chill, Marley's Mellow Mood)
등에는 Valerian Root, Kava xtract, GABA 및 Melatonin 들이 포함되어 있음
· 제조 회사의 質을 점검할 것(124)-이름도 없는 회사 제품은 위험 할 수 있음
참고 문헌
10. http://www.korea4expats.com/article-korean-oriental-medicine.html
11. David M. Eisenberg ; Trends in Alternative Medicine Use in the United States,
1990-1997. Results of a Follow-up National Survey. JAMA. 1998;280(18)
:1569-1575
12. Cameron Scott ; Americans Spend Billions on Vitamins and Herbs That Don’t
Work. 2015년 3월 19일
13. Herbal Remedy - Family Practice Notebook
15.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배기환 저.
16. HERBS, Witness Handbooks series. Lesley Bremness
17. 몸에 좋은 산야초, 넥서스. 장준근 저
18. 허브. 대원사. 조태동 저
19. 허브가 뭐야? 두 번 째 이야기. 서명원 저 ; 거담, 이뇨, 혈압 강하
20.골무꽃(韓信草, Scutellaria indica) ; 진통, 지혈, 종기, 뱀교상
지금까지 수 백 점을 그렸지만 좀 잘 되었다 싶은 것만 고르고 있다.
아무리 욕심이 나도 겨우 한 두 포기 만 있으면 환경 보존을 위해 그리기를 포기한다.
이 그림은 모두 20 종류의 약용 허브를 그린 것인데 위에 언급된 것 들이 많다.
(위 왼쪽에서 오른 쪽으로)
1. 꿀풀(夏枯草, Prunella vulgaris) ; 혈압강하 효과, 간염(119)
2. 바위취(虎耳草, Saxifraga stolonifera) ; 풍진, 습진, 중이염, 치질(119)
3. 쇠무릎(牛膝, Achyranthes japonica) ; 무릎허리통증(119)
4. 디기탈리스(Digitalis purpuera, Foxglove) ; 강심작용, digoxin의 원료(120),(122),(123)
5. 매발톱(누두채, 漏斗菜, Aquilegia vulgaris, Columbine) ; 월경불순(120)
6. 이질풀(玄草, Geranium thunbergii) ; 장염, 이질(119),(121)
7. 자리공(商陸[뿌리], Phytolacca esculenta) ; 通二便, 多忘症(건망증)(119)
8. 독말풀(천사의 나팔꽃,曼陀羅草, Datura tatula) ; 진통, 진경, 천식(121), 환각
9. 도꼬마리(蒼耳子[열매], Xanthium strumarium) ; 해열, 치통(119)
10.용담(龍膽, Gentiana scabra) ; 황달, 건위, 위액 분비 촉진(119)
11.향유(香薷, Elsholtzia ciliata) ; 두통발열, 惡寒無汗, 복통, 구토, 下痢(설사)(119)
12.붉은클로바(Red Clover) ; 피부 소염, 관절염, 항응고성분(관상동맥 혈전)(120)
13.익모초(益母草, Leonurus japonicus) ; 산후 출혈, 월경불순(119)
14.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 거담, 인후통(119)
15.명아주(藜(여), Chenopodium album) ; 이질, 설사, 습진, 독충교상(119)
16.한련화(旱蓮花, 墨旱蓮, Tropaeolum majus, Nasturtium) ; 머리털 및 두피토닉(120)
17.까마중(깜뚜라지, 龍葵(용규), Solanum nigrum) ; 해열, 이뇨, 고혈압, 황달 등(121)
18.둥굴레(玉竹(뿌리줄기), Polygonatum odoratum) ; 갈증해소, 빈뇨
19.아스파라거스(Asparagus) ; 진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