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 근심을 줄이는 방어기제 –정신과적(심리학적)인 설명(162),(165)
↝ 정신적인 고통이나 불안을 느낄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인간은 무의식적으로 몇 가지의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이에 관한 이야기는 처음으로 Sigmund Freud(오스트리아의 정신의학자)에 의해 거론 되었다. 이 방어기제는 단기적으로는 개인이 견디기 힘든 과제에서
벗어나게 할 수는 있지만 결국은 원인이 되었던 문제로 되돌아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건강한 주위 환경 속에서 성장하고 살게 되면 이 방어기제는 필요가 없게 될 것이다. id, superego, ego 등 복잡한 정신과학적인 설명은 빼고 실제적인 예를 들어 설명 하고자 한다.
부정(否定, Denial)
(사례 1)
여자 친구가 담배를 즐긴다. 건강과 담배의 폐해를 설명하면서 소책자를 보여 주었더니,
“그거 모두 정부 선전물일 뿐이야”라고 이야기하며 계속 담배를 피운다.
(사례 2)
통학 버스가 굴러 떨어져서 일부 어린이는 사망하고 일부 어린이는 부상을 당했다.
사망한 어린이의 부모에게 이 사실을 알렸더니,“동명이인일 거야. 내 아기가 죽었을 리가 없어”라고 말하면서도 울부짖는다.
(설명) 감정적인 알력(軋轢)이 생겼을 때 이를 해소시키기 위하여 무의식적으로 작동되는 방어기제이다. 밖으로 드러난 더 불쾌한 현실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는 것이다. 불쾌하거나
고통스러운 사실과 직면했을 때 확실한 증거가 넘쳐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실이 아니라고
우기는 것이다. 모든 현실을 부정하는 것(단순 부정)과 사실은 인정 하지만 그 심각성을 부정하는 것(최소화), 또는 사실과 심각성을 모두 인정은 하지만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것
(轉嫁)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개념은 특히 마약 중독, 담배 중독, 술 중독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하다.
변위(變位, Displacement)
(사례 1)
직장 상관에게 핀잔을 들어 속으로는 몹시 화가 난 회사원이 집으로 돌아와서 아내에게
“집안 꼴이 이게 뭐냐?”라고 화를 낸다. 화가 난 아내는 다시 아들에게 “공부는 안하고 맨날 게임 만 하냐, 공부 다 집어 치워라”라고 소리를 지른다. 화가 난 아들은 마당으로 뛰쳐나가서 강아지 배때기를 걷어찬다.
(사례 2)
친구가 멋진 차를 사서 속으로 몹시 배가 아프다. 마침 친구가 차를 가지고 와서 같이
드라이브를 가자고 한다. 드라이브 도중 친구와 똑 같은 차를 몰고 가는 아가씨를 보았다.“저 X 아마 몸 팔아서 저차를 샀을 거야”
(설명) 자기의 감정 표현을 위험한 목표에서 안전한 목표로 옮기는 것이다. 무의식적인 방어기제 중의 하나이며, 정신분석학에서는 자신의 성적인, 공격적인 충격을 더 잘 받아드려지고 덜 위협적인 목표로 대치하여 옮기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 다른 훨씬 파괴적인 형태의 것이 있는데 “목표를 자기 자신에게 돌리는 것”이
그것이며, 이 역동적인 현상은 우울증이라든지 자살의 형태로 나타나곤 한다.
합리화(合理化, Rationalization)
(사례 1)
학회에 참석했다. 점심도시락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었다. 점심 도시락이 너무 좋아 보여서 두 개씩이나 가져가면서 스스로에게 말한다. “다음번에는 한 개도 안 가져가면 되니까”
(사례 2)
공부를 게을리 해서 학기 말 시험에 실패한 학생이, “교수가 나한테 악감정을 가지지
않았다면 이따위로 시간을 보내지 않았을 거야“
(설명) 자기의 행동을 논리적으로 만들기 위해 반 의식적으로 정당화하고, 변명하고,
추론하는 것을 말한다. 고통스럽고, 괴로운 일로부터 벗어나므로써 불안으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이다. 진짜 본질은 뒤에 숨긴 채 냉철하고, 합리적인 용어, 임상적인 분석을 생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자기 합리화의 사례는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관찰 할 수 있다.
투사(投射, Projection)
(사례 1)
지금 자신의 이성 관계에 문제가 생겼다. 신문의 요약기사에서 유명 연예인이
갈라설 위기에 처해 있다는 것을 읽었다. 친구에게 말한다. “아마도 저 둘은
헤어지게 될 거야“
(사례 2)
질질 끄는 성향이 있어서 스스로의 이러한 기질에 당황하고 있는 한 사람이
비슷한 경향이 있는 사람을 볼 때마다 “정말 게으른 놈이군. 정말 바보같은
놈이야“라고 이야기한다.
(사례 3)
앨리스라는 여성은 톰이라는 남성을 정말 싫어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내면적인 감정을 남에게 알게 하면 안 된다는 무의식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 그래서 친구에게 하는 말이 “톰이 나를 매우 싫어 해”
(설명) 인정하고 싶지 않은 자신의 감정이나 욕망 등을 남에게 돌려 버림으로써 자신을 정당화하는 무의식적인 마음의 작용을 말한다.
피해망상, 환각, 착각도 일종의 투사에 의한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반동형성, 반대행동 형성(反動形成, Reaction formation) -「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
(사례 1)
어떤 여자에게 홀딱 반했다. 그러나 그 여자를 볼 때마다 집적거리고 그녀에
대해 비평을 쏟아내곤 한다.
(사례 2)
직장의 상사를 무척 싫어한다. 그러나, 매일 아침 출근하면 꽃병을 갈아 놓고,
심지어는 생일을 기억했다가 그녀에게 선물을 보내곤 한다.
(설명)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이나 욕구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그와는 정반대로 행동하는 것
고소공포증환자가 바람을 쐰다고 자주 옥상에 올라간다든지, 인간에 대한 증오가 있는 사람이 박애주의자가 되는 것, 죽이고 싶은데 친절하고 복종적으로 대해 준다. 의붓자식에게 더 잘해준다. 포르노를 대단히 좋아하지만 실제로는 포르노에 대한 비판자가 되는 것 등이 예라고 할 수 있는데, 방동형성은 신경증적(neurotic)인 질환의 일종이다.
퇴행(退行, Regression)
(사례 1)
멀쩡하게 생긴 청년이 불의의 자동차 사고를 내고는 어린이로 변하여 “엄마, 나 어떻게 해?”하는 자동차보험 광고가 TV에 나온다. 퇴행의 절묘한 표현이다.
(사례 2)
엄청난 정신적인 고통을 마주한 사람이 침대 한 구석에 웅크리고 앉아 있다.
(설명) 받아들이기 힘든 충격을 당하여 발달 초기의 어린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마치 “정신적인 타임머신”을 타듯 어린 시절의 위험이 없고 안전했던 시기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스트레스가 심한 환경 또는 불안을 야기하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매우 흔히 어린아이 같이 되고 유치해진다. 성인들조차 침대 한 구석에서 마치 어머니 배 속의 태아처럼 웅크리고 있기를 원한다. 몇 가지 미성숙방어의 일종이다.
억압/억제(抑壓/抑制, Repression/Suppression)
(사례 1)(163)
19살이었던 어떤 상담인은 7세 이전의 생활을 아무것도 기억 못했다. 그러나 32세 때 어린 시절에 집안에서 일어났던 문제들을 아주 분명히 기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처음으로 그의 어린 시절을 괴롭혔던 무시무시한 부모들의 부부싸움에 대해 계속 이야기해 댔다. 47세 때에 그는 자신의 기분을 부인에게 폭발시키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는 무엇 때문에 감정이 폭발했는지 알지 못했지만, 감정의 표출에 대해 언급할 때마다 그의 연상인 부인에 대한 말없는 비난으로 이어졌다. 면담하는 가운데 그는 일 년 전에 돌아가신 어머니의 기일을 기억하지 못했다.
(사례 2)
당신이 좋아하는 야구 중계를 보고 있을 때 갑자기 긴급뉴스라며 화면이 바뀌고 수많은
사람 들이 지하철 방화 사건으로 사망했다고 보도하고 있다. 당신은 차마 보지 못하고
다른 방송 채널로 돌렸다.
(설명) 사례 1은 억압이며 사례2는 억제이다.
억압은 불안에 대한 1차적 방어기제이다. 가장 흔히 쓰는 방어기제로 의식에서 용납하기 어려운 생각, 욕망, 충동들을 무의식 속으로 눌러 넣어버리는 것이다.
억압을 통해서 자아는 위협적인 충동, 감정, 소원, 상상, 기억 등이 의식되는 것을 막아준다. 특히, 죄의식, 창피 또는 자존심의 손상을 일으키는 경험들은 고통스러운 불안을 일으키므로 특히 억압의 대상이 된다.
억압에는 정신 에너지가 사용된다. 억압으로 불안을 방어하려고 하다가 실패하면 투사, 상징화 등의 다른 방어기제가 동원되며, 그 결과로 신경증이나 정신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억압이 많을수록 편견이나 선입견이 많아지는데 그 이유는 억눌린 생각들이 풀려 나오지
못하고 억눌려 있기 때문이다. 억압이 성공적일 때는 본능적인 욕구나 금지된 욕망이 노골적으로 표현되는 것이 방어되므로, 사회적, 도덕적으로 잘 적응하는 생활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억압으로 인해 비의식이 생긴다. 그리고 억압을 통과해야 치료가 일어난다.
정신분석의 작업은 억압을 극복하는 과정이며 억압은 정신분석의 초석인 것이다.(159)
억압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하는 무의식적인 정신기제이기 때문에
흔히 까맣게 잊어버리게 되며, 용납되지 않는 욕구나 충동, 사고, 등을 의식 밖으로
몰아내서 무의식적으로 잠기게 한다. 병적인 방어기제이며, 정신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억제는 받아들이기 싫은 요구나 기억을 의식적으로 잊으려고 노력하는 것이며, 성숙된
방어기제이다.
승화(昇華, Sublimation)
(사례 1)
어떤 화가는 심각하고 어두운 테마를 잘 표현하는 유명화가이다.
(사례 2)
A는 외계인의 침범에 대항해서 싸우는 비디오 게임을 즐긴다.
또한 권투나 축구하기를 즐긴다.
(설명) 본능적 욕구나 사회적으로 용인되기 힘든 충동들이 수정되고 방향을 바로 잡아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똥을 갖고 장난하고 싶은 욕망이 조각가, 기생충학자의 길로 승화되는 것 등이 그 예이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원초적이며 용납될 수 없는 충동을 억제하는데 사용되던 에너지가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억제 되었던 욕구는 방출되고 충족되지만,
욕구의 대상과 목적은 개인적이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예를 들면
개인의 원초적인 욕구가 예술, 문학, 종교, 과학 등 직업 활동으로 표현되거나 공격성의
경우는 오락이나 운동, 취미로 표현된다. 귀먹은 작곡가인 베토벤은 세상의 소리를 듣고자
하는 자신의 욕구를 서정적이고 삶을 긍정하는 합창인 9번 교향곡에 불멸의 생명을
불어넣었다.
유관순, 쟌다르크, 아라비아의 로렌스 등도 승화의 극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동일시(Identification)
↝ 동일시란 자아성장을 결정짓는 중요한 심리기제이다. 충동이 용납되기 어려운 경우, 충동 그 자체는 부정되지만 그 충동을 갖고 있는 어떤 사람(그의 일면을 묶음으로써)과 동일시함으로써 받아들이는 과정을 말한다. 즉 동일시란 부모, 형, 윗사람 등 주위의 중요 인물들의 태도와 행동을 닮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단순한 모방(imitation)과는 다르다.
동일시는 자아(ego)와 초자아(superego)의 건강한 성장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정신기제이다. 동일시가 잘 일어나게 하려면 계속적인 강화가 필요하다. 장기간에 걸친 성공적인 동일시는 성인으로서의 개별화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동일시에서 중요한 점은 어린이의 눈에 비친 성인의 이미지이다. 따라서 객관적인 과정이라기보다는 주관적인 과정이다.
공감(Empathy) - 「맞장구도 가식이 없고 진지하게」
↝ 그 사람이 되지 않고서도 마치 그 사람이 된 듯 그가 느끼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일시적이고 한정적이면서 건전한 형태의 동일시를 말한다. 또한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상대의 생각이나 감정을 내 것처럼 느끼고 이해하는 정신현상이다. 공감적 태도는 상담가가 가져야 할 아주 중요한 태도이다. 공감 받는 것만으로도 훌륭한 치료효과가 날 수 있다. 환자 들(또는 문제 의뢰인, 상담을 원하는 사람)의 많은 사람들이 주변 환경으로부터 공감을 받지 못한 결과로 생기는 것이다. 공감적 태도는 치료의 효율적인 도구가 된다. 인간은 지적받기보다는
이해받기를 원한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 공감은 성숙하고 건강한 형태의 동일시(identifica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격장애나 자폐증과 같은 정신장애자들의 병리에서는 공감능력이 부족하거나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감에서 중요한 것은 서로 다른 독립된 개체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일이다. 독립성을 잃지 않는 것이 건강한 공감이다. 공감에 능한 사람은 타인으로 부터의 경계심에서 벗어나 성공할 확률이 커지는 것이다. 예; 상대의 슬픈 이야기를 듣고 같이 슬퍼하거나 진지한 표정을 짓는 것 등
보상(補償, Compensation)
(사례)
키가 작은 사람이 굵은 목소리를 낸다.
뚱뚱한 여자가 (노력의 결과로) 아주 여성스러운 목소리를 내는 것
많이 못 배운 부모가 자식들의 공부 뒷바라지에 헌신하는 것
(설명)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긍정적인 부분을 강화하여 약한 부분을 없애려는
정신적 시도이다. 우리 속담에 “작은 고추가 맵다”는 속담처럼 체구가 작아 열등감이 있을 때 공격적이고 지배적인 속성을 보일 수도 있다.
자신의 신경증적인 욕구를 보상하기 위한 시도로서 사회적으로 칭송받는 일을 하고 고결한
성품을 가지게 되는 경우도 보상의 방어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바람직한 보상행동과는 반대로 보상하는 경우도 있다. 사랑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건전치 못한 행동으로 성적으로 문란한 삶을 사는 경우도 있다.(143)
공상(空想, Fantasy) -白日夢(백일몽)
(사례 1) 바람직한 공상
미래의 성공에 대해서 예행연습을 하거나, 곧 있을 휴가 때 할 일을 그려보거나, 어려운
과제에 대해 성공했을 때의 보상에 대해서 꿈을 꾸어 본다.
(사례 2) 바람직한 공상
10년 간 실업자로 지내는 의존적인 청년이 훌륭한 실업가가 되어 마을을 발전시키고 예쁜 여성과 결혼하겠다고 공상에 몰입해 있다.
(사례 3) 바람직하지 못한 공상
몇 달 간을 두문불출하고 게임에만 몰두했던 젊은이가 현실과 게임을 구분하지 못하고
엄청난 범죄를 저지르는 일이 발생했다.
(설명) 현실의 괴로운 문제에서 도피하거나, 현실에서는 이룰 수 없는 소원이나 욕구를 상상 속에서 만족시키는 것으로 백일몽(day dream)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가장 쉬운 돌출구이기 때문에 사람들 다수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자기의 욕망을 충족하고 있다. 그러나 공상과 현실에 대한 경계를 상실하게 되면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되어 버린다. 심해지면 현실을 부정하고 공상에 머무르려는 경향으로 발전하고 심각한 부적응을 초래하게 된다.
취소(取消, Undoing) - 「좋지 않은 말을 들었을 때 귀를 씻어라.」
(사례 1)
자기의 일에 대해 사과하거나 선물을 주곤 한다.
(사례 2)
정신분열증 환자가 손으로 십자가를 그으면서 오래 머무는 행동
(설명) 본질적으로는 자기의 죄의식이나 자기를 괴롭혔던 해로운 일에 대해 없던 것으로
하려는 심리기제이다. 반대 행동이나 보상적인 행동을 함으로써 없던 일로 하거나
반전시키려는 것이다. 어떤 예에서는 강박적인 행동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Freud)
손을 씻고도 불안해서 씻고 또 씻고 하는 행동이나 자물쇠를 잠그고 또 돌아가서 확인 하는
행동 등은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보는 것으로써 자기가 했던 행동에 대한 일종의 취소이다.
일 주일 내내 저질렀던 자기의 죄과에 대해 교회에 가서 일거에 회개하여 만회하려는 것도
그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철수(撤收, Withdrawal)
↝ 고통스럽거나 괴로운 생각, 감정의 잔재가 있는 그 어떤 것 또는 모든 것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떼어놓으려는 것이다. 정상적인 사회생활은 수많은 고통스러운 사건들과 관련이 되어 있고 친구나 동료들도 불쾌한 질문을 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철수한다는 것은 사회
활동을 더 이상 안하겠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TV나 문학작품 속에도 고통스러운 감정이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관념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너무 많은 정상적인 행동들을 회피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소외감과 고독감으로 이어지는 것이므로 가장 심각한 방어기제 중의
하나이다. 결국은 더 심한 근심 걱정과 고통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공상과 함께 결합되어
있으면 사람의 인생을 마비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요사이 TV 프로에 산속에서 혼자
단절되어 살고 있는 사람 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고는 놀랐다. 우리 사회가 그만큼 고통스럽고
스트레스가 심한 것을 반영하지만 공통적인 그들의 말대로 “세상 참 편하다”가 될 수 있을까.
자기 ‘고립’이며, ‘부정’이며, ‘공상’이며, ‘도피’이며, 가족에 대한 책임에서 ‘철수’하는 것에 불과한 자기 방어 기제인 것이다. 결국은 더 심한 불안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문제 행동에 관한 맺음 말(162),(165)
↝ 방어기제란 것은 잘만 사용하면 유용하고 건강한 것이 되지만 잘못 사용하거나 과도하게 사용하면 같은 기제일지라도 불건전하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문제 행동은 여러 사례에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개인으로 하여금 진짜 느낌과 생각을 하지 못하도록 방해한다. 또한 방어기제를 자주 사용하거나 계속해서 사용하면 현실검사를 망가뜨린다. 否定(denial)과 편협한 投射(projection)는 사실상 정신병으로 간주한다. 이 기제 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자신의 실제 현실 및 주위 환경과의 접촉이 끊기고 결과적으로 자신을 현실과 고립시켜서 스스로의 설계대로 창조한 세계에서 살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다음의 방어기제도 有害할 수 있다. 즉, 위협에 대처해서 사용할 만한 기제가 거의 없을 때와 초자아(superego)가 너무 많아서 너무 많은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것도 문제가 된다.
* 현실검사(reality testing) ; 자아와 비(非)자아, 외계와 자기의 내부를 구별하는 객관적 평가
참고문헌
162. http://www.newworldencyclopedia.org/entry/Defense_mechanism.
defense mechanism
163. 사례로 본 방어기제 이해. 인터넷 자료
164. http://tip.daum.net/question/49952816
165. http://www.utahpsych.org/defensemechanism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