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에 대한 정의(定義)
↝ 노인(老人)을 순수 우리말인 “늙은이”라고 부르면 괜히 무시하는 듯한 느낌이 든다.
“노인께서는 ~~”이라고 말하면 공손한 느낌이 들고 “늙은이께서는~~”이라고 젊은이가 이야기하면 지팡이로 얻어맞기 십상이다. 잔여 인생이 지나온 인생에 비해서 얼마 남지 않았다는 의미가 내포 되어 있다. 모호한 용어이기는 하지만 세계 공통으로 가장 많이 쓰는 말은 역시 늙은 사람(old people)이고, 미국에서는 연장자(seniors), 미국과 영국 공통으로는 손위 시민(senior citizens)이고, 사회과학적으로는 나이든 성인(older adults)이라고 하며, 원주민 문화를 포함한 여러 문화 속에서는 늙숙한(the elderly)이나 윗 나이 사람들(elders)란 용어를 사용한다. 우리말로 쓰면 그게 그거 같아서 언뜻 개념이 서지 않지만 최근 급증하는 노인 세대에 대한 경제사회적인 문제가 너무 많아서 이쯤에서 우리식의 정의(定義)를 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노인 들은 재생 능력이 저하되고 질병에 대해서 젊은이 들보다 취약하다. 나이가 들면서
(aging) 늙어가는 것을 노화(senescence)라고 하며 의학적으로 노화과정을 다루는 것을
노인학(gerontology), 노인 들의 질병을 다루는 학문을 노인병학(geriatrics)이라고 한다.
노인 들은 또한 사회적으로 은퇴, 고독, 나이 차별 등과 직면하기도 한다.
공식적 정의
노인을 규정하고 정의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같을 수가 없다. 문화적 배경의 맥락을 참고 하여야하기 때문이다. UN에서는 60세 이상을 대체적인 기준으로 삼자는 것이고 이것이 첫 국제적인 정의의 효시였다. 그러나 WHO에서는 아프리카의 경우, 50세를 노인의 시작이라고 했다. 동시에 개발도상국에서는 나이로써 기준을 삼지 않고 ‘새로운 역할, 과거 역할의 소실, 사회기여도’ 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56)
대개의 서구 선진국에서는 60-65세를 은퇴와 노인복지프로그램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문화와 국가에 따라서는 40대 중반부터 70대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기준을 가지고 있지만
80세 이상 장수하는 경우가 전 세계적으로 일반화함에 따라 그 기준이 점점 변하고 있다.(57)
통속적 정의
18세 이상의 2929명 미국인에서 그들의 생각을 조사한 바 있다. 그런데, 30대 초반의
젊은이 들은 노인의 기준을 60세로 잡고 있는 반면 65세 이상의 사람 들은 74세가 노인이
시작되는 나이라고 대답했다. 또한 서구 각국과 영국 사람 들과의 차이도 많았다.
細分(sub-group) 분류법
선진국에서는 대개의 60-70 대의 사람 들은 자기 들이 아직 건강하고 활동적이고 스스로를 돌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75세 이후가 되면 점차적으로 허약해져서 정신적으로 문제가 생기고 신체적으로 무능해지는 상황이 된다. 따라서 노인학자 들은 나이 든 사람 들을 모두 뭉뚱그려서 이야기 할 것이 아니라 이를 세분하는 것이 좋겠다는 제안이다. 어떤 학자 들은 60-69세 사이를 젊은 노인(the young old)이라 하고, 70-79세를 중노인(the middle old), 그리고 80 세 이상을 상노인(the very old)으로 나누자고 하였고(58), 또 다른 연구에서는 젊은 노인( young-old, 65 to 74), 중노인(middle-old, 75–84), 및 가장 늙은 노인(oldest-old, 85+)으로 나누자고 하였다. 또 어떤 경우는 젊은 노인(young old, 65-74), 노인(old, 74-84), 및 상노인(old-old, 85+)으로 나누자고 한다.(58)
4차원적 분류
나이가 먹었다는 것은 4차원적인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 숫자로 나타나는 연대적인 것,
생물적인 것, 정신적인 것, 그리고 사회적인 것이다. 연대적인 나이는 기능적인 면에 있어서 개인 차가 심하다. 연대적인 것 이외에 다른 3가지 차원이 달라지면 노인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손주가 생겨서 할아버지가 되거나 일을 덜하게 되거나 은퇴 후 다른 일을 하게 되는 것도 노인이 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신체적인 변화-늙기도 설워라커늘!
뼈와 관절 ; 가늘어지고 위축된다. 따라서 키가 작아지고(80세 까지는 약 5cm 정도
작아짐), 많은 사람 들은 등이 굽고, 골관절염이나 골다공증에 취약해진다.
만성 질환 ; 대개의 노인 들은 최소한 한 가지의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고, 많은 노인 들이 복수 질환을 가지고 있다. 제일 많은 것이 관절염이고, 그 다음이 조절되지 않은
고혈압, 및 심장 질환이다.(59)
치아 질환 ; 침의 분비가 줄고 구강 청결 상태가 불량해지며 충치와 치주염이 증가한다.
소화 기관 ; 연하곤란(삼키기 어려움), 불충분한 음식 섭취, 소화력 감소, 변비, 출혈성
소화기 질환 등이 잦아진다.
시력 ; 희미한 불빛에서, 작은 글자를 읽기 어려워지고, 읽는 속도가 느려진다.
낙상 ; (젊은이라면 괜찮았을 환경에서) 넘어져서 낙상을 입기 쉬워진다. 65세 이상
노인의 1/3이, 80세 이상의 절반 이상이 매년 전도(넘어짐)를 경험한다.(60) 넘어져서
부상을 당하는 일(낙상)은 사망의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이다.
머리카락 ; 얇아지고 더 색깔이 바랜다.
청력 ; 75세 까지는 남성의 48%, 여성의 37%가 청력 장애를 경험한다. 그러나, 50세
이상의 청력 장애 인구 중 보청기를 사용하는 사람 들은 7명 중 겨우 한 명 꼴이다.
심장 ; 스테미나의 감소와 함께 심장의 효능도 감소한다. 더구나 동맥경화증 때문에
血行이 방해 받는다.
면역 기능 ; 면역 기능의 저하는 노화의 징후이기도 하다.
폐 ; 확장이 잘 안되어 무기폐 등이 잘되고 산소 공급이 저하된다.
통증 ; 최소한 전 시간의 25%(하루 6 시간 이상)에서 통증 때문에 괴롭다. 노인 시설의
너싱홈에 있는 노인 들은 80% 이상의 시간을 동통과 함께 지낸다.(61) 대개의 통증은
류마치스성이거나 악성 신생물 탓이다.
성기능 ; 남녀가 공히 특히 60세가 넘으면 가령(加齡)과 함께 성기능과 성욕이 현저히
감소한다.
피부 ; 탄력성이 줄고, 건조해지며, 피부에 금이 많이 늘고 주름이 많아진다.
수면 장애 ; 노인의 50%에서 수면 장애가 문제가 되고 낮에 졸리는 경우가 많다.
65세 까지는 깊은 잠을 자는 사람이 5% 밖에 안 된다.(62)
입맛 ; 80세 까지는 입맛을 느끼는 맛봉오리 들의 숫자가 정상의 50%까지 줄어든다.
음식은 당기지 않고 영양 공급이 문제가 된다.
요실금 ; 늙으면 자주 경험하게 된다.
목소리 ; 성대가 약해지고 진동도 느려진다. 따라서 목소리도 약해지고 쌕쌕거려서
‘늙은이 목소리’를 내게 된다.
참고 문헌
56. Indicators for the Minimum Data Set Project on Ageing,”
http://www.who.int/healthinfo/survey/ageing_mds_report_en_daressalaam
57. The Robert N. Butler Columbia Aging Center, “About Us.”
http://www.mailman.columbia.edu/academic-departments/centers/
58. Forman, D. E.; Berman, A. D.; McCabe, C. H.; Baim, D. S.; Wei, J. Y.
(1992). "PTCA in the elderly: The "young-old" versus the "old-old"".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0 (1): 19–22.
5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dministration on Aging, “A
Profile of Older Americans: 2011
60. “How Often Falls Occur” at
http://www.learnnottofall.com/content/fall-facts/how-often.jsp.
61. S. A. King, “The challenge of geriatric pain,” Psychiatric Times, 26:7,
62. Julie K. Silver, M.D., “Aging and Energy: Why Energy Levels Go down as
We Get Older” (2008) at http://www.gather.com/viewArticle
醫學漫評 ~ “늙어 갈 때(加齡)의 아래 도리 三則”
1. 화장실 지나치기 없기
1. 발기하면 참기 없기
1. 확인하고 발사하기(D? or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