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6월 28일 목요일

17. 치매 유감(癡呆 遺憾)


치매 유감(癡呆 遺憾)
 
치매는 우리 고유의 말은 아니고 일본말에서 유래된 것이 확실하다. 현대 의학 용어의 거의 대부분이 일본어에서 왔다는 것은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의학 분야 뿐 아니라
건축 분야에서 보면 아직도 일본식 용어를 많이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보다 앞서서
서양문물을 받아 드리고 과학용어를 정비 하다 보니, 뒤따라가는 우리가, 같은 문법과 어법,
그리고 한자어를 사용하는 일본식 용어를 사용하게 된 것은 어쩌면 당연 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우리 의학용어 사전 집을 보면 많은 국내 학자 들이 우리식 용어로 바꾸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 같아서 다소 고무적이다. 순수 우리말은 아름답기는 하지만
풀이가 너무 긴 단점이 있다. ‘치매 라는 용어도 우리말로 된 것이 아직 없다.
일본어에서의 사용 례를 보면 1719唐話纂要에서 癡呆라는 말이 발견된다.
치매라고 읽는다. 와 뜻과 발음이 같다. ‘어리석다, 바보 같다라는 뜻이다.
또는 로 읽으며, 역시 어리석다. 어리둥절하다라는 뜻이다.
나무() 위에 겨우 입()만 달려있는 형상이니 말도 못하는 인간나무라는 뜻일 것이다. 어떤 책에는 치매를 癡呆 또는 라고 쓰지 않고 라고 쓰고 있는데, 발음은 같지만 뒤의 것은 매화나무 매, 또는 아무 모이기 때문에 잘못 쓰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또한 1872明治)「医語類聚에는 DEMENTIA의 번역어라고 하고
一種”, 미치광이의 일종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1932昭和)「改修言泉에는 癡呆(あほう, 阿房)와 같다고 되어 있다. “바보라는 뜻이다.
어차피 우리 말 용어는 따로 없고 치매만 있으니 이 글이 끝날 때 까지는 당분간 이
말을 쓰겠다.
지난 40 여 년 간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이 OECD 34개 회원국의 인구구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3년 기준, 한국의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은 12.2%30위에 머물렀지만 증가 속도는 1위를 기록했다. 65세 이상의 노인이 500 만 명을 넘는다.(75)
(76)의 논문에 의하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치매 유병율은 알츠하이머 치매 4.89%, 혈관성 치매 1.22%, 기타 원인 치매 0.59%로 전체적으로는 6.71%롤 집계 되었다.
(2010년 인구 센서스 기준) , 통계가 정확하다면, 65세 이상 노인의 50% 이상(6.71%/12.2%)이 치매 환자인 것이다. 전국에 걸쳐 300 만 명 정도의 치매 환자 들이
있다는 말이 된다. 물론 치매도 초기 치매가 있고, 경미한 치매가 있으므로 사회적인 부담은 생각보다는 적을지 모르지만 어떻든 심각한 사회적인 부담이 가는 것은 분명하다.
오늘 이야기하려는 이야기의 골자는 치매의 사회적인 문제가 아니라 소위 동방예의지국인
우리나라에서 이 어른 들을 어리석은 바보 들이라고 불러야 하는가? 라는 문제를
이야기 하는 것이다. ‘치매는 한자나 일본어로 쓰더라도 우리나라를 세계사에 유래가 없는
일류국가로 만들고 지쳐 쓰러진 이 들을 부르는 용어로는 마음에 안 든다.
2013년 개정된 미국 정신과학회 발간 ‘DSM-5(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77)에 보면 dementia(치매)라는 용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신경인지장애(neurocognitive disorder)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DEMENTIA의 어원은 de+ment+ia이다. ‘정신을 박탈당한(빼앗긴) 이라는 뜻으로
치매(바보 천치병)보다는 좀 낫지만 그래도 점잖은 용어는 아니니 바꾸자는 취지다.
일본 의학책에서도 이제 더 이상 치매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認知症이란 고상한 말로 바꾸어 쓰고 있는데, 이제 우리도 인지증이란 일본 용어를 쓸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그래도 치매나 신경인지장애 환자보다는 나으니까.
 
 
참고 문헌
75. 연합 뉴스. 빠르게 늙는 한국고령인구 증가속도 OECD 최고, 2014/09/09 06:45
송고
76. 박준혁 ; 제주대학교 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국노인의 치매, 2013
7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p. 525
 
                                                                          
 
 
醫學漫評 ~ “늙은이의 이름 들”(노화 현상)
      

늙은이 유머
* 세 명의 늙은이 들이 길을 가고 있다.
늙은이 1; 바람이 불고 있지?(windy?)(Wednesday?)
늙은이 2; 아니야, 목요일이야.(Thursday!)(Thirsty?)
늙은이 3; 나도 목이 마르군.(Thirsty?) 맥주 마시러 가세.
* 115세의 노파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지금 어떤 점이 좋으세요?” “친구 스트레스가 없어서 좋아
* 의사가 치매 환자에게 이야기한다.
나쁜 소식과 좋은 소식이 있어요.” “나쁜 소식은 당신은 치매 환자라는 것이구요,
좋은 소식은 집에 가면 치매라는 사실을 잊어버리게 된다는 겁니다.”
* 치매와 기억력 ; “내 기억력은 이전만 못해. 그리고, 내 기억력은 이전만 못해
* 치매 테스트(오답과 정답 풀이)
1. 토스터에 넣는 것은? 토스트? ?
2. ‘실크를 다섯 번 반복하시오. 젖소는 무엇을 마십니까? 밀크? ?
3. 붉은 집은 붉은 벽돌로 만들고, 푸른 집은 푸른 벽돌, 흰집은 흰 벽돌, 핑크 집은 핑크
벽돌로 만든다. greenhouse는 무엇으로 만드는가? 초록 벽돌? 유리섬유?
4. 수많은 승객을 태운 비행기가 서울 한복판에 추락했다. 471명이 사망했다.
91명의 생존자 들은 어디에 묻어야 하나? 서울에 묻는다? 묻지 않는다?
5. 당신은 한 버스를 몰고 있다. A 정거장에서15명이 타고 10명이 내렸다. B 정거장
에서는 11명이 타고 15명이 내렸다. 당신의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