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과 호르몬 치료에 대한 충고
- “생체동일성” 호르몬과 “자연 호르몬”은 더 안전한가?
- HRT에 대한 “찬반양론”을 검토하자
↝ 폐경은, 혹자는 “인생의 변화”라고 하지만, 월경이 중지되면서 생기는 정상적인 변화이다.
폐경기에는 어떤 여성 들은 ‘얼굴이 화끈거린다’ 든지, ‘야간에 진땀이 난다’ 든지, ‘질이 건조해지거나 자극이 심하게 있다’ 든지, 또는 ‘뼈가 가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 여성에 따라서는 이 문제 들을 해결하기 위해 호르몬 대체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을 실시한다.
(Adapted from Wikipedia. This file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3.0 Unported license.)
폐경과 호르몬
↝ 폐경 이행기에는 마지막 월경 주기에 이르기 까지 수개월 ~ 수년 동안 에스트로젠 (여성호르몬), 프로제스테론(남성 호르몬)을 포함한 여러 가지의 호르몬 농도가 불규칙적으로 오르내린다. 이는 난소의 기능이 점점 쇠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위에 열거한 많은 증상 들이 나타나지만 이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들의 부작용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폐경기 또는 폐경 후에 사용하는 호르몬 치료법에는 다음의 것 들이 있다.(196)
Estrogen-only HRT(여성 호르몬 한 가지만 투여) – 자궁을 摘出(자궁과 난소를 제거)한 여성에게 처방함
Cyclical(sequential) HRT(주기에 맞추어 투여) - 폐경기 유사 증상이 있지만 아직 월경이 있는 여성에게 처방함. 월경은 매 달 있고 월경 주기 말에 여성 호르몬 + 황체호르몬 물질(progestogen)을 2주간 투여하거나 매 13주에 매일 투여하되 2주간 투여함
Continuous HRT(지속 투여) - 폐경 후의 여성에게 투여함. 여성호르몬 + 황체호르몬 물질 투여함
여성호르몬(Estrogen)은 폐경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자궁이 제거된 여성이라면 순수 여성 호르몬 제제 한 가지 만을 사용 할 수 있으나 자궁이 있는 여성이라면 남성 호르몬(progesterone)이나 합성 남성호르몬인 progestin을 추가 하여야 한다.(E+P)
이렇게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은 자궁 내막이 원치 않게 두터워지는 것을 막고 자궁암의 위험을 줄여주기 위함이다. 흔치는 않지만 여성 호르몬 한 가지 만을 사용했을 때 있을 수 있는 결과인 것이다.(193)
androgen(남성 호르몬)은 전통적으로는 마치 ‘남성 호르몬’이라는 시각으로만 보아왔다. 따라서 너무 많은 남성 호르몬을 가지고 있는 여성이란 맥락으로 취급 되었던 것이다. 털이 많이 나는 것, 여드름이 많은 것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남성호르몬은 여성의 체내에서 근육과 뼈의 강도를 유지한다든지, 단백질 대사를 올바르게 만든다든지 성욕의 유발과 전반적인 건강유지에 있어서 생리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194)
↝ 여성 호르몬과 여성-남성호르몬 제제를 오랫동안 사용하는 것에 대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지만, 난소 기능 장애(예, 폐경)에서 오는 여러 가지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호르몬 요법 들이 효과가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거의 없다. 얼굴 화끈거림이나 진땀나는 것 등의 혈관운동성 증상에 대해서는 경구나 주사와 같은 전신요법이 필요하지만 膣乾燥 등의 증상에는 국소요법이 적절하다. 난소는 여성에서 testoterone과 같은 남성 호르몬을 생산
하는데 기여한다. 난소를 외과적으로 제거하면 혈류 중의 testosterone은 50%나 감소한다.
난소는 그냥 두고, 자궁 만을 제거한 후에도 testosterone이 감소하는데 그 이유는 난소는
보존되고 있지만 난소로 가는 혈류가 수술로 인해 제약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어떤 질환으로 인해서 남성 호르몬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서 폐경기 이후의 여성을 치료함에 있어서 남성호르몬을 사용하는데
관심이 집중되었다. 연구 결과에서는 느끼는 기분과 행복감이 개선된다고 하였다. 더구나, 남성호르몬을 사용하는 것은 여성 생식 기능의 개선과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피부 변화라든지, 약간 얼굴에 잔털이 늘고, 목소리가 굵어지는 것 등의 부작용은 드물다. 간기능의 이상은 더 가능성이 적다. 이러한 부작용은 혈중 남성 호르몬 수치를 감시하면서 사용하면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남성호르몬을 함께 사용하고 싶은 여성이라면 사전에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194)
“생체동일성” 호르몬과 “자연 호르몬”은 더 안전한가?(192)
↝ 더 안전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FDA와 몇 몇 전문가 그룹에 의하면 소위 “생체동일성
(bio-identical)”이나 “자연(natural)”이라고 판매되고 있는 호르몬들이 전통적 치료에 사용하던 기존의 호르몬보다 더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이며 효과가 더 좋다는 증거도 없다는 것이다.
‘생체동일성’이란 용어는 체내에서 생산되는 호르몬과 화학적으로 같다는 말이다. 실제로
이 호르몬 들은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호르몬과 별반 다른 것이 없을 수도 있다. 또한 FDA에서 공인된 몇 가지 호르몬과 의사 들이 처방하는 호르몬에도 “생체동일성 호르몬”이 포함되기도 한다.
‘자연’이란 용어는 식물이나 동물에서 유래했다는 뜻이고, 실험실에서 만든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그러나 이들 중 많은 것은 아직도 ‘생체동일성’이 되기 위해서는 상업적인 공정을 밟아야 한다. 전통적인 호르몬 치료법은 자연호르몬을 꼭 배제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어떤 FDA 공인 생산품은, 예를 들어, 여성 호르몬을 포함한 Estrace, Climara 과 Vivelle-Dot, 그리고 자연성 progesterone을 포함하고 있는 Prometrium도 식물에서 추출한 것이다. 생체동일성 호르몬을 판매하고 있는 사람들은 자기들의 상품이 전통적인 약물에 비해 다음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들은 FDA에서 인정한 상품과는 용량과 형태에 있어서 다른 상품을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비표준적인 (자기들만의 비법) 혼합공법을 사용하여 환자 개개인에 맞추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업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표준적인 호르몬제제가 갖추어야 할 엄격한 품질 관리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없다.
당신을 위한 주문제작은 당신 자신의 호르몬을 평가하기 위하여 당신의 침을 검사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침 속에 들어있는 호르몬 농도는 혈액 내의 것을 반영하지 못하며 폐경기 증상과 부합되지 않는다.
어떤 여성 들은 이러한 비표준적인 용량과 형태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는지는 모르지만 이렇게 조제된 것이 기존의 것에 비해 더 좋다는 과학적인 근거는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한다.
호르몬 치료법의 찬반 양론(Controversy of HRT)에 대하여~~~~~~(195),(197)
↝ 2002년 전 까지는 호르몬 치료법(HRT)이 ‘젊음의 묘약’으로 치부 되었었다. 그러나 점차로 HRT가 유방암과 난소암 및 기타 질환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등, 심각하고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부작용이 발견됨에 따라 이 약은 어떤 특수한 환경에서만 사용할 것을 충고하고 있다.
2002년 실시된 「WHI (Women's Health Initiative)의 조사」 이후에는 더욱 혼돈과 논쟁의 수렁에 빠져 들게 되었다. 실제로 HRT의 위험은 너무 많은 관심을 끌어서 그 장점 들 조차도 점차 관심 밖으로 밀리며 잊히고 있다.
WHI의 여성호르몬과 황체호르몬 연구에서, 5년 동안의 HRT 사용 후에 유방암의 위험이 약간 증가 하였다고 하였다. 여성 1,000 명 당 매년 1명 꼴로 증가하였던 것이다.(189)
WHI의 여성호르몬과 황체호르몬 연구에서, 5년 동안의 HRT 사용 후에 유방암의 위험이 약간 증가 하였다고 하였다. 여성 1,000 명 당 매년 1명 꼴로 증가하였던 것이다.(189)
‘여성 호르몬과 황체 호르몬 조합’을 이용한 연구는 2002년 7월 초 중단되고 말았다.
연구자들이 유방암의 위험은 물론이고, 심장질환과 뇌졸중, 및 혈액응고, 등의 위험이 크게
증가한 사실을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이 위험 들은 ‘골반 골절이나 결장직장암 발생율의 저하’라는 HRT의 장점을 넘어서는 것이었다. 또한 2003년 5월에는 WHI의 치매연구(the Women's Health Initiative Memory Study, WHIMS) 담당 연구자 들이 여성+황체 호르몬
사용 부문의 ‘기억력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보고 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서는 65세 이상의 여성에서 오히려 여성들의 잠재적 치매 위험성을 증가시킬 뿐 인지 능력 유지 역할은 없었다고 하였다. 따라서 WHIMS의 이 부문조차 2002년 7월에 중단되고 말았다.
드디어 2004년 2월 말에 이르러서는 WHI와 WHIMS의 나머지 부문(여성 호르몬 단독 투여 群) 까지도 중단하고 말았다. 뇌졸중의 위험은 증가하고 심장병의 위험은 오히려 줄어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지하였다는 것은 이 약물 들을 시험 투여하던 여성들에 대한 실험을 그만 두었다는 사실을 이야기한다. 위험율이 높아서 인간 실험을 중지 하였다는 이야기다.
과학자 들은 더 나아가 처음 계획했던 그 다음 해까지의 연구를 지속해 보아야 결론에서 더 추가로 얻을 정보가 없을 것이라고 믿었던 것이다.
2004년 4월에는 WHI 연구자 들은 혈액 응고의 위험이 증가했지만 유방암이나 결장직장암에
대한 뚜렷한 영향은 없었으며 여성 호르몬 단독 투여 군에서는 골절의 위험은 줄었다고 발표
하였다.(197)
최신의 지침(196)
↝ Nick Panay(영국 폐경 학회 회장)은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 우리의 목표는 HRT를 처방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HRT 사용을 고려하고 있거나 근자에 HRT를 사용 중인 여성 들을 위해서 의료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최신의 지침은 HRT가 다시 적절하게 사용되어 폐경기의 수많은 여성들에게 혜택을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새로운 지침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 :
∙ ‘HRT를 사용할 것인가’는 개인이 결정할 문제이다. 각 여성은 의료인으로부터 충분한
정보를 얻어서 완전하게 알고 선택을 하여야 한다.
∙ 전체 투약 방식과 사용 기간은 물론이고 HRT 용량은 개인 별로 따로 산출되어야 한다.
∙ HRT를 사용 중인 여성 들은 매년 찬반양론의 입장에서 치료(효과)를 평가 받아야 한다.
∙ HRT 사용의 기간에 대해서는 인위적으로 정해진 바 없다. “만일 증상이 지속되면 호르몬
치료의 혜택은 일반적으로 위험을 넘어선다.”
∙ 만일 HRT를 사용한다면, 환자와 의료인(의사)은 60세 이전에 처방될 때 유익한 혜택과
위험이 함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하여야 한다.
∙ 조기에 난소 부전이 있는 여성은 최소한 평균 폐경이 되는 연령까지는 HRT를 사용하여야
한다.
∙ 60 세 이상의 나이 든 여성이 HRT를 처방 받으면 처음에는 용량을 낮추어야하고,
가능하면 피부를 통해 투여하는 방법(transdermal route)이 좋다.
∙ 사람 들의 수명이 늘어갈수록(아마도 지속적으로 그렇게 될 것이지만), HRT에 대한
연구개발(R&D)은 혜택을 극대화하고, 위험과 부작용은 최소화 시키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이로 인해 삶의 질을 최적화하고, 개인적, 사회적, 또한 경제적인
부담이 되는 장기적인 건강 문제 들을 일차 예방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참고 문헌
192. Shannon K. Laughlin-Tommaso, M.D.; Are "bioidentical" or "natural" hormones
safer and more effective than hormones used in traditional hormone therapy
for menopause symptoms?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menopause/expert-answers
/bioidentical-hormones/
193. https://www.nia.nih.gov/health/publication/hormones-and-menopause.
Hormones and menopause
194. Dr Keith Spowrt, BSc(Hons), MBChB, FRCOG. ; THE USE OF TESTOSTERONE
IN POST MENOPAUSAL WOMEN
195. http://secondopinion-tv.org/episode/hormone-replacement-therapy
196. http://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261030.php
Hormone Replacement Therapy - Updated Recommendations, At Last!
Published: Sunday 26 May 2013
197. http://www.nih.gov/news/pr/jun2004/nia-22.htm, NIH News
댓글 없음:
댓글 쓰기